서울 사람과 지방 사람의 콘서트 가서 쓴 돈 정산 할 때의 차이 (17)

요약

  • “서울 사람 vs 지방 사람, 콘서트 갈 때 드는 비용이 어떻게 다른가”를 비교한 글.

  • 서울 거주자는 교통·숙박 비용이 적지만, 예매 수수료·주말 프리미엄·주차료·식사 비용이 누적된다는 포인트.

  • 지방 거주자는 교통(고속/철도·항공)과 숙박이 핵심 비용이며, 막차/새벽 귀가 리스크와 연차 사용 비용(시간 비용)도 크다는 의견.

  • 굿즈 구매 대기, 사전·사후 모임까지 합치면 “표값 외 지출”이 의외로 비슷해질 수 있다는 관찰.

코멘트

공연비용은 표값이 아니라 동선·시간·선택의 문제에 가깝습니다. 실전 팁을 압축해요.

  • 예매: 같은 투어라도 평일 2회차가 주말 1회차보다 숙박·교통이 저렴한 경우가 많습니다. 지방 거주자는 막차 시간을 기준으로 좌석을 고르고(퇴장 동선 빠른 구역), 서울 거주자는 주차 대신 대중교통+도보 루트를 미리 저장해 두면 체력·비용을 같이 아낍니다.

  • 교통/숙박: KTX·SRT·비행기 얼리버드와 지역 카드 제휴를 먼저 확인하고, 숙박은 콘서트홀 반경 2정거장(지하철 기준)로 넓혀 검색하면 성수기 급등을 피하기 쉽습니다. 2인 이상이면 시내 호텔 1박 < 심야 택시 왕복이 되는지 총합으로 비교하세요.

  • 굿즈/식사: 굿즈는 1회차 ‘대기’보다 온라인 리스탁·공식몰을 활용하면 시간 비용을 줄일 수 있고, 식사는 공연장 주변 프리미엄을 피해서 한 정거장 바깥으로.

  • 체크리스트: 예산 캡(교통·숙박·식비·굿즈 상한)을 먼저 정하고, 수수료·보관함·물품 반입 규정·우천 대비(우비/방수팩)까지 메모.

  • 안전/귀가: 지방 관객은 막차 실패 대비 ‘늦은 체크인 가능 숙소’ 후보를 하나 더 준비하고, 서울 관객은 심야 버스·심야 택시 승차존 위치를 미리 저장해 두면 마음이 편합니다.

핵심은 팬 경험의 가치와 체력·시간을 예산 안에 균형 내로 맞추는 것. 미리 고정비(교통·숙박)를 확정하고 변동비(굿즈·식사)를 조절하면, 지역에 상관없이 만족도가 올라갑니다.


출처 : 루리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