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쿠 – "서울만 생각하면 눈물 줄줄"…한 번 다녀오면 걸린다는 中 MZ들 유행병

요약

  • ‘서울병’은 중국 MZ 사이에서 서울/한국 여행 후 친절·질서·안전·서비스 품질을 강하게 체감하고, 귀국 뒤에도 그 감각을 계속 그리워하는 현상을 가리키는 신조어입니다.

  • 후기들은 대개 식당·대중교통·편의점·길 안내에서 받은 사소한 배려를 증언처럼 공유하며 상호 공감을 형성합니다. 이때 **관광 버블(핵심 상권·핫플 중심 동선)**과 선택 편향이 체험을 더 밝게 보이게 만드는 효과도 있습니다.

  • 흐름의 본질은 ‘한국이 완벽’이 아니라, 일상에서 친절이 체감되는 빈도가 여행자의 피로도를 낮추고 재방문 욕구를 키우는 감정의 축적에 있습니다.

  • 다만 현실적 한계(물가·숙박비·피크타임 혼잡·언어 장벽)와, 커뮤니티 내 과잉 미화/역으로 생기는 반발도 함께 존재한다는 점을 고려하면 균형 잡힌 독해가 필요합니다.

코멘트

이 글의 포인트는 ‘한국인들이 특별히 대단하다’가 아니라, 여행자가 매일 겪는 작은 마찰이 줄어드는 경험이 얼마나 큰 정서적 보상을 주는가에 있습니다. 길을 헤매는 순간 직원/행인이 먼저 “괜찮냐”고 묻고, 지하철·버스에서 줄 질서가 유지되고, 계산대에서 영수증·거스름 절차가 빠르게 끝나는 것—이런 초소형 친절의 반복이 피로를 깎아 먹습니다. 중국 젊은층 후기들이 열광적으로 공유되는 건, 그들이 일상에서 체감하는 **도시 피로(혼잡, 무례, 불확실성)**와의 대비가 또렷하기 때문입니다. 여기에 지도앱 평점·SNS 핫플 추천이 ‘좋은 서비스가 모여 있는 코스’를 자동 추천해 주면서 긍정 체험이 더 농축되는 관광 버블 효과가 붙습니다.

다만 두 가지를 같이 보시면 좋습니다. 첫째, 선택 편향입니다. 후기들은 자연히 인상적 장면(친절·청결·안전)을 과대표집하고, 불편했던 순간은 생략되기 쉽습니다. 주말 홍대/명동의 피크 혼잡, 인기 맛집의 대기·회전 압박, 숙박·카페 물가 레벨은 여행 설계에서 반드시 감안해야 합니다. 둘째, 상호기대의 상승입니다. ‘한국은 다 친절하다’는 상이 굳어질수록 작은 실수에 대한 실망도 커집니다. 여행자 관점에서는 “친절을 보게 해 준 환경”에 감사하되, 이를 개개인에 대한 당연한 의무로 요구하지 않는 균형이 필요합니다.

한국 독자 입장에선 시사점이 분명합니다. 우리가 매일 대충 해 온 작은 친절이 사실 강력한 소프트파워였다는 점입니다. 길 안내 한마디, 줄 새치기 제지, 음식점의 기본 응대가 한 도시의 인상을 결정합니다. 반대로 혐한/혐중 감정이 격해지는 국면에서는 이 소프트파워가 가차 없이 증발할 수 있다는 것도 기억해야 합니다. ‘서울병’ 현상을 지혜롭게 소비하려면, 현실(물가·혼잡·언어)을 숨기지 않는 여행 가이드와, 현지인-여행자 간의 친절의 상호성을 함께 얘기하는 게 바람직합니다. 그렇게 하면 이 유행은 일시적 밈을 넘어, 도시가 지속해서 선택받는 이유를 설명하는 사례로 남을 것입니다.

https://n.news.naver.com/article/277/0005653594?ntype=RANKING

중국 젊은층 사이에서 유행하는 ‘서울병’
한국인 친절 경험담 공유하며 공감





중국 젊은층 사이에서 이른바 ‘서울병’이 확산하고 있다. 한국을 방문한 뒤 서울을 그리워하며 다시 찾고 싶어하는 현상으로, 단순한 여행 후유증을 넘어 한류 문화에 대한 동경을 담은 신조어처럼 자리잡고 있다.



당초 ‘서울병’은 여행 후 아쉬움 정도를 표현하는 말이었지만, 최근에는 공연·관광을 즐기고 귀국한 뒤 일상으로 돌아갔을 때 느끼는 공허함과 한국 문화에 대한 동경까지 포함하는 의미로 확장됐다. 실제로 중국 틱톡(더우인)에서는 한강 야경, 서울 거리 풍경 등을 담은 영상이 인기를 끌고 있다. 또한 “서울은 인생 최고의 여행지”, “한강에 다녀오면 서울병에 걸린다”는 설명이 붙은 게시물이 줄을 잇고 있다.





(중략)



중국인 관광객은 방한 외래객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다. 올해 상반기 외국인 관광객 881만명 중 중국인은 252만명(28.6%)으로 1위를 기록했다. 지난해에도 전체 1636만명 중 491만명이 중국인이었다. 업계는 이번 무비자 시행으로 올해 외래 관광객 2000만명 달성은 물론 3000만명 유치도 가능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출처 : 더쿠